ubuntu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눅스에서 패스워드를 한 줄로 변경하기 리눅스에서 패스워드를 한 줄로 변경하기 echo 명령어와 passwd 명령어의 --stdin 옵션을 사용합니다. 명령어 기본 구문 echo "새로운 패스워드" | passwd --stdin [username] 사용 예시 testuser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P@ssw0rd"로 변경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echo "P@ssw0rd" | passwd --stdin testuser Changing password for user testuser. passwd: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 이 방법은 패스워드를 두 번 입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하지만, 패스워드가 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보안상 취약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리눅스에서 일반 사용자가 1024 이하의 포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일반 사용자가 1024 이하의 포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setcap/getcap)3. Linux에서 setcap 명령으로 capabilities 설정리눅스의 capabilities 설정을 통해서 일반 유저가 1024 이하 포트 사용이 가능하다. capabilities란 무엇일까? 전통적인 유닉스/리눅스에서는 root가 모든 권한을 가진다. 일반유저가 root의 일부 권한을 갖기 위해서는 SetUID/SetGID나 sudo 등 기초적인 방법으로 권한을 부여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capabilities는 root의 권한을 세분화(커널 모듈 load/remove, 파일 소유자/소유그룹 변경, kill 권한, ping 허용(ICMP허용), 리부팅 등)하여, 일반 유저도 root의 다.. 더보기 실행 중인 서비스와 설치된 모든 서비스 목록을 얻는 방법 실행 중인 서비스와 설치된 모든 서비스 목록을 얻는 방법모든 서비스 목록 보기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서비스의 목록을 확인합니다.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서비스 유닛 파일을 나열하며 각 서비스의 상태(예: enabled, disabled, static 등)도 함께 보여줍니다.systemctl list-unit-files --type=service실행 중인 서비스 목록 보기현재 실행 중인 서비스만 나열합니다.systemctl list-units --type=service --state=runningLOAD → 유닛 정의가 제대로 로드되었는지를 나타냅니다.ACTIVE → 유닛의 고수준 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며, SUB의 일반화된 형태입니다.SUB → 유닛의 저수준 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며, 값은 유닛 유형에 따라 다릅.. 더보기 [리눅스] webmin(리눅스 관리툴) 설치하기 webmin(리눅스 관리툴) 설치하기 tar xvfz webmin-1.670.tar.gz cd webmin-1.670 ./setup.sh - Config file directory [/etc/webmin]: /etc/webmin - Log file directory [/var/webmin]: /var/webmin - Full path to perl (default /usr/bin/perl): /usr/bin/perl - Web server port (default 10000): 10000 - Login name (default admin): admin - Login password:xxxxxxxxx - Password again: xxxxxxxxx - Start Webmin at boot time (y/.. 더보기 HTOP – Linux Process Monitoring HTOP – Linux Process Monitoring : HTOP은 콘솔에서 서버의 프로세스 상황을 다양한 색상으로 모니터링하는 도구이다. tar xvfz htop-0.8.3.tar.gz ./configure make && make install which htop $ which htop /usr/local/bin/htop htop 참고URL - http://pkgs.repoforge.org/htop/ 더보기 [리눅스] 우분투(Ubuntu) 관리자 계정(root) 활성화 우분투(Ubuntu) 관리자 계정(root) 활성화 1. 관리자 계정 비밀번호 설정 sudo passwd root 2. GUI 로그인 항목 생성 vi /etc/lightdm/lightdm.conf $ vi /etc/lightdm/lightdm.conf ... greeter-show-manual-login=true 더보기 [명령어] chkconfig 명령어 chkconfig 명령어 chkconfig [런레벨 조정] * 서비스 runlevel 보기 chkconfig --list chkconfig --list 데몬명 * 서비스 등록하기 chkconfig --add 데몬명 * 서비스 삭제하기 chkconfig --del 데몬명 * 서비스 runlevel 조정하기 chkconfig --level 실행레벨 데몬명 [on|off|rest] $ chkconfig chkconfig version 1.3.30.1 - Copyright (C) 1997-2000 Red Hat, Inc. This may be freely re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GNU Public License. usage: chkconfig --list [name] .. 더보기 [리눅스] at 명령어 at 명령어 at 명령어는 Linux나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일회성으로 실행할 작업을 지정한 시간에 예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시스템 부하나 리소스를 낭비하지 않고 작업을 예약할 수 있습니다. at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 1. at 명령어 설치 확인 at 명령어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which at 만약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우분투에서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sudo apt-get install -y at 2. 작업 예약 at 명령어로 예약할 작업을 입력합니다. 다음은 10분 후에 ls 명령어를 실행하는 예제입니다. at now + 10 minutes $ at now + 10 minutes at> ls > /home/user/list.tx.. 더보기 이전 1 ··· 14 15 16 17 18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