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kubernetes] kubectl config 명령 - 2 쿠버네티스 kubectl config 설정 쿠버네티스 컨트롤러 서버(linux) kubectl config view $ kubectl config view apiVersion: v1 clusters: - cluster: certificate-authority-data: DATA+OMITTED server: https://127.0.0.1:6443 name: cluster.local contexts: - context: cluster: cluster.local user: kubernetes-admin name: kubernetes-admin@cluster.local current-context: kubernetes-admin@cluster.local kind: Config preferences: {} us.. 더보기 [kubernetes] kubectl get 명령 kubectl get 명령 kubectl get field selector kubectl get pods -o wide --field-selector status.phase=Running $ kubectl get pods -o wide --field-selector status.phase=Running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IP NODE NOMINATED NODE READINESS GATES myapp-rs-dynamic-4gchk 1/1 Running 0 23m 10.233.118.66 kube-node3 myapp-rs-dynamic-7wqq4 1/1 Running 0 23m 10.233.73.68 kube-node1 myapp-rs-dynamic-bgmf5 1/1 .. 더보기 [kubernetes] kubectl delete 명령 kubectl delete 명령 Delete resources by file names, stdin, resources and names, or by resources and label selector. 사용법 Examples: # Delete a pod using the type and name specified in pod.json kubectl delete -f ./pod.json # Delete resources from a directory containing kustomization.yaml - e.g. dir/kustomization.yaml kubectl delete -k dir # Delete a pod based on the type and name in the JSON passed i.. 더보기 우분투에서 rc-local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방법 우분투에서 rc-local(rc.local)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방법Ubuntu 22.04는 rc.local이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systemd를 사용하는 서비스와 유닛 파일로 대체되었습니다.테스트 환경$ lsb_release -dDescription: Ubuntu 22.04.2 LTSrc-local 서비스 활성화1. rc-local 서비스 상태 확인systemctl status rc-local.service$ systemctl status rc-local.service○ rc-local.service - /etc/rc.local Compatibility Loaded: loaded (/lib/systemd/system/rc-local.service; static) Drop-In:.. 더보기 Vim에서 YAML 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설정(vi/vim 환경 설정) Vim에서 YAML 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설정(vi/vim 환경 설정)1. Vim 설정 파일 열기 또는 생성vim 에디터로 yaml 파일 작성 시 인덴트 및 하이라이팅, 들여쓰기 등 기능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vimrc 파일 편집~/.vimrc 파일이 이미 있는 경우 해당 파일을 엽니다. 그렇지 않으면 새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vim ~/.vimrc2. YAML 문법 강조 설정YAML 파일의 문법을 강조하기 위해 filetype 플러그인을 활성화합니다.autocmd FileType yaml setlocal ts=2 sw=2 expandtabau FileType yaml noremap f :!python -c "import sys,yaml;yaml.safe_load(sys.stdin)".. 더보기 [kubernetes] 쿠버네티스 워크로드 - 네임스페이스(namespaces) 워크로드 - 네임스페이스(namespaces) 네임스페이스 확인 kubectl get namespaces $ kubectl get namespaces NAME STATUS AGE default Active 2d1h ingress-nginx Active 2d1h kube-node-lease Active 2d1h kube-public Active 2d1h kube-system Active 2d1h metallb-system Active 2d1h kubectl get pods --namespace kube-system kubectl get all --namespace kube-system 네임스페이스 생성 kubectl create namespace infrateam $ kubectl create namesp.. 더보기 mypage git : https://github.com/anti1346 - 작성 중- InfluxDB, Grafana 및 Telegraf를 사용하여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기 - 정리중 : https://anti1346.tistory.com/1545 - 정리 예정 - - - 더보기 [kubernetes] 쿠버네티스 볼륨(Volume) - 정적 프로비저닝(Static Provisioning) / nfs 쿠버네티스 정적 프로비저닝(Static Provisioning) nfs 서버 구성(kube-control1) - nfs 서버 구성 : https://sangchul.kr/432 nfs 클라이언트 구성(kube-node1, kube-node2, kube-node3) sudo apt install -y nfs-common showmount -e 192.168.56.11 $ showmount -e 192.168.56.11 Export list for 192.168.56.11: /nfs-directory/shares-data1 192.168.56.0/24 PV(Persistent Volume) 생성 nfs-pv1.yaml 파일 작성 vim nfs-pv1.yaml apiVersion: v1 kind: Persis.. 더보기 이전 1 ··· 132 133 134 135 136 137 138 ··· 2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