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CentOS 6에서 VNC Server 설치 및 설정하는 방법

반응형

CentOS 6에서 VNC Server(vnc-server) 설치 및 설정하는 방법

1. VNC Server 설치

VNC 서버 패키지 설치

sudo yum install -y tigervnc-server

설치가 완료되면 /usr/bin/vncserver 명령어가 생성됩니다.

2. VNC 비밀번호 설정

VNC 접속 시 사용할 비밀번호를 생성합니다.

vncpasswd

입력 후 ~/.vnc/passwd 파일이 자동 생성됩니다.

참고: VNC 비밀번호는 8자리까지만 유효합니다. 단, 별도의 로그인 사용자 인증도 필요하므로 root 비밀번호와 동일하게 설정하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3. 설정 파일 수정

1. /etc/sysconfig/vncservers 설정

해당 파일이 없는 경우 직접 생성합니다.

sudo vi /etc/sysconfig/vncservers
VNCSERVERS="1:root"
VNCSERVERARGS[1]="-geometry 1152x864"
VNCSERVERS="1:root" : root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번호 1 (:1)로 VNC를 사용
VNCSERVERARGS[1]="-geometry 1152x864" : 해상도 지정 (원하는 크기로 변경 가능)
728x90

4. xstartup 설정(GUI 세션 실행)

VNC 서버는 기본적으로 단순한 X 세션만 실행합니다.

전체 GNOME 또는 Xfce 데스크탑 환경을 사용하려면 ~/.vnc/xstartup 파일을 수정합니다.

vi ~/.vnc/xstartup
#!/bin/sh
unset SESSION_MANAGER
exec /etc/X11/xinit/xinitrc
xinitrc를 실행함으로써 전체 데스크탑 세션을 로드합니다.

실행 권한을 부여

chmod +x ~/.vnc/xstartup

5. VNC 서버 실행

VNC 서버 실행

vncserver

또는 서비스 방식으로 실행

systemctl start vncserver@:1.service
systemctl enable vncserver@:1.service
첫 실행 시 ~/.vnc/ 디렉토리 하위에 로그와 설정 파일(xstartup, passwd, .log, .pid)이 자동 생성됩니다.

VNC 서버가 실행되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New 'server-hostname:1 (root)' desktop is server-hostname:1

이는 :1 디스플레이로 5901 포트(5900 + 1)에서 서비스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728x90
반응형